한국정치

'관저 정치' 논란은 이제 안녕? 尹 대통령, 11일에 서초동으로!

 탄핵으로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엿새간의 관저 생활을 마치고 오는 11일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자택으로 거처를 옮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삿짐 이동을 확인했으며, 경찰 또한 경호 협조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늦어지는 퇴거 시점과 잇따른 논란 속에 윤 전 대통령이 '관저 정치' 비판을 의식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현행법상 탄핵 파면된 전직 대통령의 관저 퇴거 시한은 명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 사흘 만에 사저로 복귀한 점을 고려하면, 윤 전 대통령의 엿새간 관저 체류는 다소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특히 관저에서 지지자 메시지를 내거나, 중진 의원들의 방문이 이어지면서 '관저 정치' 논란이 불거졌다. 이는 전직 대통령으로서 부적절하다는 비판과 함께, 국론 분열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대통령 경호처는 서초동 아크로비스타가 공동주택인 만큼 경호 계획 점검에 시간이 걸린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대통령 측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서초동 자택에 머물다 향후 제3의 장소로 옮길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이는 경호 문제뿐 아니라 사생활 보호, 그리고 '관저 정치'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한 고심으로 풀이된다.

 

전직 대통령은 최대 10년간 대통령 경호처의 경호를 받는다. 경호 인력은 통상 20~30명 규모로 알려졌다. 대통령경호법에 따라 자진 사퇴나 파면으로 퇴임한 전직 대통령도 경호 예우는 유지된다. 이는 국가 기밀을 다뤘던 전직 국가원수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과도한 경호는 국민 정서에 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의 서초동 자택 이동은 '관저 정치' 논란을 잠재우고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수 있을까. 향후 거처 문제와 경호 규모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윤 전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으로서 품위를 지키고, 사회에 기여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국민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이번 퇴거를 계기로 과거의 논란을 딛고, 국민 통합에 기여하는 행보를 보여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