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사회

웨딩홀 대신 시청에서? 시청이 무료로 제공하는 '야외 예식장' 화제

 고물가 시대, 결혼 비용 부담에 신음하는 예비부부들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 광주시청의 '빛의 정원'이 예식장 대관료 부담 없이 개성 있는 결혼식을 올릴 수 있는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광주시에 따르면 올해 이미 9쌍의 예비부부가 시청사 공공예식장 '빛의 정원'을 예약했다. 4월과 5월에 각각 2쌍, 9월에는 5쌍이 예약을 마쳤으며, 첫 번째 결혼식은 오는 12일 오후 1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이처럼 야외 결혼식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우선 경제적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일반 예식장과 비교해 약 1100만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또한 하루에 한 팀만 예식을 진행하기 때문에 시간에 쫓기지 않고 여유롭게 결혼식을 치를 수 있다. 여기에 개성 있고 특별한 결혼식을 선호하는 MZ세대의 취향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로 예약을 한 예비부부는 "시청 야외광장의 경관이 너무 아름다워 야외결혼식 장소로 손색이 없고, 시간 제약 없이 특별한 결혼식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신청하게 됐다"고 밝혔다. 특히 제1호 커플은 "가족·지인 위주의 특별한 결혼식을 하고 싶었고, 일반 예식장에 비해 가격, 시간, 공간적으로도 가성비가 좋은 것 같다"며 "1호 커플의 영예를 얻어 매우 기쁘고, 광주시민으로서 의미 있는 장소에서 결혼할 수 있게 시청을 개방해줘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빛의 정원' 이용 자격은 예비부부 또는 양가 부모 중 1인이 광주시에 거주하거나 생활권에 속하면 된다. 예식은 주말과 공휴일 주간에만 가능하며, 1일 1예식을 원칙으로 선착순 예약을 받는다. 예식 6개월 전부터 광주시 총무과를 방문하거나 전화, 또는 공유누리 플랫폼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큰 장점이 있다. 시설 사용에 따른 실비만 부담하면 되는데, 야외광장 등 실외는 1일 1만 원, 실내는 시간당 1만 원이며 냉난방비는 별도다. 다만 꽃장식이나 테이블·의자 등은 개별적으로 준비해야 하지만, 광주시에 문의하면 관련 업체를 안내받을 수 있다.

 

식사 제공도 가능하다. 혼주가 원하는 경우 시청 구내식당을 활용해 1인당 5000원의 국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완성품 위주의 추가 음식 반입이나 케이터링(뷔페) 서비스도 야외광장에 한해 허용된다.

 

광주시는 예비부부들을 위해 야외웨딩 전문업체와 함께 예식 상담도 진행하고 있다. 황인채 총무과장은 "더 이상 과도한 결혼식 비용을 쓰지 않아도 빛의 정원에서 특별하고 기억에 남을 결혼식을 할 수 있다"며 공공예식장의 장점을 강조했다.

 

고물가 시대에 결혼식 비용 부담을 덜고, 개성 있는 결혼식을 원하는 예비부부들에게 광주시 '빛의 정원'은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공공예식장이 더 많이 생겨나 결혼을 앞둔 젊은 세대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