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치
"2주면 충분"... '윤석열 탄핵' 최후의 시나리오

8차 변론에서는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1경비단장이 증인으로 출석해 신문이 진행됐다. 이로써 국회와 대통령 측이 기존에 신청한 15명의 증인에 대한 신문이 모두 완료됐다. 그러나 윤 대통령 측은 새로운 국면을 열며 추가 증인 6명을 신청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윤 대통령 측이 신청한 추가 증인 명단에 조지호 경찰청장이 포함됐다는 것이다. 조 청장은 원래 국회 측이 신청한 증인이었으나, 혈액암을 이유로 두 차례나 불출석했던 인물이다. 그런데 윤 대통령 측이 갑자기 그를 증인으로 신청하면서 "구인까지 원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여 이목을 끌고 있다.
윤 대통령 측은 '12·3 비상계엄' 관련 검찰의 피의자 신문조서가 증거로 채택된 것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수사 기록과 당사자들의 진술 내용이 달라졌다는 이유로 추가 신문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미 한 차례 증인신문을 마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나, 이전에 신청이 기각됐던 한덕수 국무총리까지 다시 증인 명단에 포함시켰다.

헌재는 9차 변론에서 양측에게 각각 2시간씩 최종 입장을 정리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시간에는 서증요지 설명과 동영상 진술이 포함된다. 다만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변론 종결 가능성에 대해 "제 말에 자꾸 의미를 부여하지 말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변론이 종결되면 헌재는 본격적인 재판관 논의 절차에 돌입한다. 주심재판관의 사건 검토 내용 발표를 시작으로, 재판관들이 의견을 교환하는 평의가 진행된다. 이어서 주심 재판관을 시작으로 임명일자 역순으로 재판관들의 평결이 이뤄진다. 평결 후에는 다수의견을 바탕으로 결정서 초안이 작성되는데, 주심재판관이 소수의견일 경우 다수의견을 낸 재판관 중에서 초안 작성자가 새로 지정된다.
과거 사례를 보면,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심판은 변론 종결 후 14일, 박근혜 전 대통령은 11일 만에 선고가 이뤄졌다. 이번 사건도 추가 증인이 채택되더라도 최대 2차례 정도의 추가 변론이 예상되며, 2월 말까지는 변론 절차가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약 2주간의 재판관 논의 기간을 고려하면, 최종 선고는 3월 중순 이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