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대한민국, 집단 공황 위기 "잠시 TV는 꺼도 됩니다"
최근 한국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친 총체적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극단으로 치닫는 정치 갈등, 서민 경제를 위협하는 고물가·고금리, 끊이지 않는 사건·사고까지, 불안의 씨앗은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 경제 위기까지 심화되면서 서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치솟는 물가에 생활비 부담은 커져만 가고, 고금리 시대에 빚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청년들은 취업난에 좌절하고, 중장년층은 경제적 불안감에 미래를 걱정하며 한숨짓는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사회적 불안이 만성화될 경우 개인의 정신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사회 시스템 마비까지 초래할 수 있는 '집단 공황'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고려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 교수는 "한국 사회는 과거 계엄, 탄핵, 대형 참사 등 국가적 트라우마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집단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고 있다"며 "여기에 정치 양극화, 경제 불안, 세대 갈등 등 해소되지 못한 사회적 갈등이 누적되면서 집단적 불안감이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치적 양극화는 단순한 정책적 의견 차이를 넘어 극단적인 진영 논리와 혐오 발언으로까지 번지면서 사회적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상대방을 향한 비난과 공격에만 몰두할 뿐, 민생 문제 해결이나 사회 통합에는 무관심한 모습이다. 이러한 정치권의 무책임한 행태는 국민들에게 깊은 불신과 좌절감을 안겨주고, 사회 전체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 경제 위기까지 심화되면서 서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치솟는 물가에 생활비 부담은 커져만 가고, 고금리 시대에 빚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청년들은 취업난에 좌절하고, 중장년층은 경제적 불안감에 미래를 걱정하며 한숨짓는다.
문제는 이러한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우울증, 불안장애, PTSD 등 다양한 정신 질환으로 이어질 뿐 아니라, '집단 공황'이라는 더욱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집단 공황은 공동체의 안전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극단적으로 확산하면서 사회 시스템 마비까지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현상이다.
한 교수는 "집단 공황 상태에 빠지면 개인은 이성적인 사고와 판단 능력을 상실하고, 사회는 혼란과 무질서에 휩싸이게 된다"며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스트레스 관리 노력과 더불어 국가 차원의 정신 건강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개인은 과도한 뉴스 시청을 줄이고,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해야 한다.
또한 가족, 친구, 동료 등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사회적 지지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필요하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한국 사회는 지금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개인의 노력과 국가적 차원의 대응이 어우러질 때, 우리는 집단 공황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